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동차43

트레일블레이저 후기 중고 제원 연비 트렁크 결함 소형SUV 시장은 한국 SUV 시장 중에 가장 경쟁이 치열합니다. 기아 셀토스, 현대 코나, KGM 티볼리, 르노 아르카나 (구 XM3), 그리고 쉐보레의 트랙스 크로스오버.마지막으로 오늘 리뷰할 트레일블레이저 까지 무려 6가지. 세그먼트 중 가장 많은 SUV 종류를 자랑합니다. 이는 전세계적으로 여전히 SUV가 가장 인기가 높기 때문입니다.특히 소형 SUV 는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으로 많은 판매량이 보장 됩니다.그래서 각 제조사는 입문형 SUV로 소형 SUV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6가지나 되는 경쟁 모델 중 트레일블레이저는 어떤 매력을 가지고 있을까요? 최고의 쉐 보레 소형 suv 트레일블레이저  국산 소형 suv 시장은 사실상 현대 suv 소형 셀토스가 독주 하고 있으며 그 밑에 코나가 있습.. 2025. 1. 31.
KGM 토레스 가격 합리적일까? 고질병 장점 단점 리뷰 1부 쌍용 토레스 로 출시 되었던 사명이 바뀌면서  KGM의 토레스가 되었습니다.23년 1월 월간 5,000대가 넘게 팔릴 정도로 인기가 높았습니다. 하지만 돌풍은 오래가지 못했습니다.23년 35,000대를 판매했지만 24년엔 13,000대로 판매가 급감하였습니다.원인이 무엇이었을까요? KGM 토레스 (구 쌍용 토레스) 장점 ▲넓은 트렁크 공간 아래는 트렁크 크기를 비교 한 것입니다.KGM 토레스기아 스포티지현대 투싼703 L637 L622 L 토레스의 경쟁 상대는 기아 스포티지, 현대 투싼 입니다.분류상 중형 SUV로 분류하기도 하지만 중형 SUV인 기아 쏘렌토, 현대 싼타페와 크기 차이가 상당합니다.가격과 크기를 생각하면 이들은 준중형 SUV로 분류되는 것이 좀 더 정확 합니다.  토레스는 뷰티풀 코란도 .. 2025. 1. 9.
르노 SM6 중고차 장점 단점 고질병 후기 1부 현재 국내 중형 세단 시장은 현대의 쏘나타와 기아의 k5가 독점 하고 있습니다.쉐보레의 말리부는 단종 되었고 르노 SM6는 저조한 판매량으로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합니다.하지만 SM6는 그만큼 중고차 시장에서 현대나 기아 자동차 대비 가격이 수백만원 이상 저렴합니다.사회 초년생 또는 가성비 있게 자동차를 운행하려고 한다면, SM6도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오늘은 SM6  중고차를 구매하기 앞서 고질병 및 단점들을 알아 보겠습니다. SM6 고질병 첫번째: 미션 SM6에 들어가는 게트락 습식 7단 DCT미션 입니다. 엔진 크기가 2리터 중형 자동차에 주로 쓰이는 미션입니다.위에서 말한 DCT의 낮은 내구성을 최소화한 검증 된 미션으로, 판매량 역시 유럽에서 검증이 되었습니다.르노 외에 미니쿠퍼, 벤츠 .. 2025. 1. 8.
2024년 하이브리드차 ? 아니면 전기차 ? 하이브리드차 또는 전기차 사이에서 고민 하고 계신 분들이 많을 겁니다. 세계 1위 자동차 제조사 토요타는 여전히 하이브리드 강조 합니다. 하이브리드의 원조가 바로 토요타 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한국의 현기차, 미국의 테슬라, 중국 등은 전기차 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과연 둘중 어떤 것을 사는게 답일까요?하이브리드차 특징먼저 하이브리드차와 전기차 각각의 특징을 알아 보겠습니다. 하이브리드차의 특징은 아래와 같습니다. 하이브리드는 가솔린 또는 디젤 엔진과 전기 모터, 배터리로 구성됩니다. 디젤은 각종 대기오염 저감장치를 추가로 부착 되어야 합니다. 그래서 일반 하이브리는 가솔린 엔진에 전기모터를 추가하는 형태로 구성 됩니다. 하이브리드는 저속 주행 시 전기 모터로 주행합니다. 고속 주행 시 내.. 2025. 1. 6.
내연기관 2부 가솔린이냐 하이브리드냐 앞서 1부에서 내연기관의 미래에 대해 설명 했습니다. 아직까지는 가솔린, 하이브리드 등 내연기관 자동차를 사도 괜찮습니다. 본격적인 판매 금지까지 10년이 남아 있고 정책이 바뀔수도 있기 때문 입니다. 오늘은 그렇다면 왜 가솔린보다 하이브리드를 사야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폭발적인 하이브리드 성장세23년 한국의 하이브리드차의 판매량은 총 39만1000대에 달합니다.  이는 22년의 27만4000대와 비교하면 무려 42.5%라는 상당한 증가율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폭발적인 판매량 증가는 하이브리드차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과 선호가 높아지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다양한 모델의 출시와 함께 경제성과 환경적 요인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는 것을 보여 줍니다. 또한, 하이브리드차의 시장 점유율 역시 눈에 띄게.. 2025. 1. 6.
내연기관 1부 가솔린이냐 하이브리드냐 세계적으로 내연기관 자동차를 퇴출 하려는 추세 입니다.나라마다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전세계적으로 2035년 부터는 내연기관 차량 판매가 중단 됩니다.그래서 가솔린 혹은 내연기관을 지금 당장 구매 해야 될지, 말아야 하지 고민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어떤것을 사야 할까요? 내연기관 아직은 사도 된다.한국도 세계적인 추세에 따라 2035년 부터 내연기관 판매를 중단하려고 합니다.하지만 몇가지 사정으로 이는 지연 될 수 있습니다. 전기차 인프라 구축이 만만치 않은 것이 그 첫번째 이유 입니다.두번째는 내연기관 퇴출을 주도하고 있는 유럽의 자동차 업계 사정 때문입니다.현재 한국 중국 미국과는 다르게 유럽 자동차 제조사들의 전기차 신차 개발 속도가 더딥니다.그 결과 현대 기아자동차로 대표되는 한국 전기차에게도 기술.. 2025. 1. 5.
반응형